2025/10 2

카피킬러 주도 글쓰기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에 테스트 주도 개발(test driven development, TDD)라는 것이 있다. 처음부터 개발 계획을 치밀하게 세운 뒤에 코딩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작게 만들어서 테스트하고 그로부터 피드백을 얻어 빠르게 개선해 나가는 방식이다. 요즘 학교 시스템에 과제물을 제출하면 자동으로 표절률이 계산되어 나오는데, '표절'과 'GPT표절'이 각각 비율로 매겨진다. 학교 전체 지침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과목에서 표절률이 30% 이상이면 점수를 안 준다고 했던가 감점한다고 했던가 그랬던 것 같다. 그래서 일단 거기에 맞추려고 한다. 전에 다른 과목 과제물을 낼 때 이것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기도 했고, 최근에 유튜브인가 페북인가에서 학생들이 표절 검사기 통과하는 요령..

Rhino 첫 실습

이번 학기에 3D프린터 과목을 수강하고 있다. 중간시험 전까지는 이론만 계속 하다가 이번 9주차에서 처음 Rhino를 실습했다.수업은 Rhino 7.0 버전을 기준으로 한다. 요 며칠간 2001년식 ThinkPad 노트북을 다시 꺼내서 옛날 프로그램들을 하나씩 설치하고 있던 중이라 Rhino도 구버전(Rhinoceros 4.0 평가판)을 어찌어찌 구해서 설치해 봤는데 전혀 버벅거리지 않고 잘 돌아간다. 메뉴와 명령이 스페인어로 되어 있어서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렵지만 ChatGPT와 구글 번역 앱의 도움을 받으니 할 만했다. 옛날에 두 달 배운 스페인어를 다 잊어버렸긴 했어도 도움이 되는 것 같기도 하다. 교수님이 띄워 놓은 화면과 내가 보는 화면이 크게 다르지 않다. Rhino 버전이 높으면 기능이 많기..